Post

[5일차]7가지 코드-제품설계 4장

제품설계 4장

표지

  • 분량 : 68 ~ 84p OOBE 전까지

[!tip] 7가지 코드 - 닐 메타, 아디티야 아가쉐, 파스 디트로자 지음

제품의 매력은

요약

  • MVP는 용어의 범위가 넓어 ETP(테스트 가능한 초기 제품)라는 용어로 테스트할 수 있는 간단한 제품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추가적인 대한은 RAT(최고 위험 가설 테스트)이며 ETP보다는 상품성이 없고 가설에 대한 테스트를 할 정도로의 제품을 만들는 것이다. RAT는 특히 ‘무엇을 하지 않을지’가 명확 해야 하고 이는 목표를 기억하고 범위 변동을 피하기가 훨씬 쉽다.

[1-to-N 제품설계와 개발 과정]

  • 불만사항 찾아내야 하며, 이 방법은 사용자를 관찰하고 만족감, 모방하기 어려운가, 매출을 주는가를 검토 해야한다. 클릭 가능한 프로토타입과 A/B테스트로도 점검해 볼 수 있다.
    다음은 참조고객(소규모 사용자 그룹)을 이용하는 것이다.

[최소 매력 제품(MLP)]

  • MVP와 RAT는 세상에 선보이면 안되고 제품 1.0을 선보일 생각이면 MMP(최소 시장성 제품) 또는 MLP(최소 매력 제품)를 고려해야한다. MVP나 RAT가 피드백을 얻을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인 방면, MLP는 사용자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고 관심을 유지하도록하는 간단한 방법이다. 주의 할 점은 MLP는 실제 제품이라는 점이다.
  • MLP는 최소기능을 우선 정해야 하며, 핵심 아이디어를 명확히 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매력은 사용자의 경험에서 나온다. 애플워치는 수많은 기능들이 있지만 사용자들에게 실제 매력으로 다가온 점은 디자인 이였다.

교훈 및 적용

  • MVP와 RAT의 범위에 대해 명확히 개념이 잡힌 것 같다. 일할때 혼용 하지 않도록 하자. 더물어 MLP는 말그대로 제품에 ‘매력’이 있어야 한다. 기능에 치우치지 말고 사용자에게 매력으로 다가가는 부분이 어떤 것인지 생각해 보도록 하자.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