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N, VPC, VPS 정리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 용어 정의
VPN, VPC, VPS 정리
정의
- VPN(Virtual Private Network)
- 번역하면 가상 사설 네트워크
- 보통 웹에선 SSL VPN을 통해 사용자가 VPN을 통해 먼저 접속하게 하고 암호화를 거친 뒤 서버로 접속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 VPN은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사설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주로 원격 근무, 보안 접속, 지역 제한 우회 등에 사용된다.
- VPC(Virtual Private Cloud)
- 번역하면 가상 사설 클라우드
- AWS의 EC2(클라우드 컴퓨터)는 각각의 리전(Region)을 갖고 이러한 떨어져 있는 EC2들을 묶어 연결해주는 것을 VPC라고 한다.
- VPC는 클라우드 내에서 격리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여 보안성과 관리성을 높인다.
- 사용자는 VPC 내에서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게이트웨이 등을 설정할 수 있다.
- VPS(Virtual Private Server)
- 번역하면 가상 사설 서버
- VPC와 비슷하게 보이겠으나, 차이는 클라우드 컴퓨터가 아닌 실제 컴퓨터를 하나의 가상 서버로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 VPS는 물리 서버를 가상화하여 여러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주로 웹 호스팅,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등에 사용된다.
용도 및 특징
- VPN
- 서버를 접근하는 네트워크를 가상으로 설정하여 사용자를 실제 서버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로 돌리기 위해 사용한다.
- 보안성이 없어 해당 네트워크 통신은 VPN 개설자가 모두 볼 수 있다.
- VPN은 데이터 암호화를 통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 원격 근무 시 회사 내부 네트워크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다.
- VPC
- AWS에서 많이 사용되는 개념으로 여러 개의 EC2를 하나의 클라우드로 묶기 위해 사용된다.
- VPC는 네트워크 격리를 통해 보안을 강화하고, 네트워크 설정을 사용자 정의할 수 있다.
- VPC 내에서 서브넷을 나누어 공용 및 사설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 VPS
- AWS의 등장으로 요즘은 별로 사용하지 않는 개념이다.
- VPS는 물리 서버를 가상화하여 비용 효율적으로 서버를 운영할 수 있다.
- 사용자는 루트 접근 권한을 통해 서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배운 점
VPC와 VPS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웠다. 사실 지금 이해한 부분이 맞는지도 확실하지 않다. 상세히 설명해줄 수 있는 분이 있으면 좋겠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